chapter 12-01
반응형 웹
다양한 화면 크기와 특성을 가진 기기들의 환경에 맞추어 반응하는 웹 페이지를 디자인 하는 일을 뜻합니다.
뷰포트
뷰포트의 정의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뷰포트(viewport)는 현재 화면에 보여지고 있는 다각형(보통 직사각형)의 영역을 뜻합니다. CSS상에서 뷰포트란, 현재 작성하고 있는 페이지를 렌더링 하는 가상의 화면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이 뷰포트의 크기를 320px * 640px로 고정한다면, 이 크기를 가진 화면을 기준으로 박스 모델 기준의 프레임이 짜여집니다. 하지만 실제로 이 페이지가 뜨는 화면에 640px * 980px 이라면, 화면의 크기에 맞춰서 커지지 않고 작게 나올 것입니다.
뷰포트 속성
이러한 불상사를 피하기 위해, 뷰포트와 속성값을 지정합니다. 기본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meta name="viewport" content="속성 1=값1, 속성2=값2, .......">
이 meta 태그는 head 태그 영역의 내부에 작성합니다. 속성값으로 다음이 올 수 있습니다.
width: px단위의 크기 혹은 device-width를 쓸 수 있습니다. device-width는 현재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가로 길이를 자동으로 잡아오므로, 위에서 나온 불상사를 피하기 위해 써야 하는 속성입니다. 기본값은 브라우저에서 지정한 기본값을 사용하는데, 크롬의 경우 980px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height: widht와 동일한 방법으로 뷰포트의 가로 길이를 지정합니다.
user-scalable: yes / no로 확대, 축소 가능 여부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값은 yes입니다.
initial-scale: 초기 확대/축소 비율을 지정합니다. 기본값을 1로 가지며, 1부터 10까지 값을 지정하여 기본값의 몇 배를 확대하여 보여줄지를 정할 수 있습니다.
뷰포트 단위
뷰포트를 기준으로 하는 단위입니다.
vw: 1vw는 뷰포트 너비의 1%와 같습니다.
vh: 1vh는 뷰포트 높이의 1%와 같습니다.
vmin: 뷰포트 너비와 높이 중 작은 값의 1%와 같습니다.
vmax: 뷰포트 너비와 높이 중 큰 값의 1%와 같습니다.
반응형 웹 디자인하기 - 디바이스 모드
PC로 개발을 하는데 모바일에서도 잘 보이는지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경우 옆에 핸드폰을 갖다 놓을 필요 없이, 크롬 개발자 도구의 디바이스 모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 도구의 왼쪽 최상단에서
두 번째 아이콘이 디바이스 모드 아이콘입니다. 클릭하여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메뉴를 볼 수 있는데, 여기서 뷰포트의 크기를 직접 지정하거나 특정 기기를 선택하여 해당 화면에서 내 웹 페이지가 어떻게 보이는 지를 볼 수 있습니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