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5-4

<textarea> 태그

텍스트를 여러 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자기소개서 작성 페이지의 본문 부분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cols 속성으로 창의 너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rows 속성으로 텍스트를 몇 줄 보여줄 지 정할 수 있습니다 (단, 이 것이 텍스트의 길이를 제한하지는 않습니다. type 태그의 size 속성처럼, 단지 몇 줄을 보여줄 지만 정합니다.)

<select>, <option> 태그

선택 가능한 목록을 표시하는 드롭박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select>
	<option value="값:L">내용:l</option>
	<option value="값2">내용2</option>
</select>

즉, select 태그로 드롭박스의 처음과 끝을 나타내고 option 태그로 어떤 목록이 들어갈 지를 정해줍니다. img29

select 태그 속성

size 속성으로 옵션 몇 개를 표시할 것인지 지정하고 muptiple 속성으로 두 개 이상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는 ctrl, 맥은 command로 복수 선택 가능).

option 태그 속성 value 속성을 지정하여 해당 항목을 선택했을 때 서버로 넘길 값을 지정합니다 selected 속성이 지정되면, 드롭박스에서 화살표를 클릭하지 않았을 때 보여지는 항목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datalist> 태그

드롭박스와 비슷하게, 선택 가능한 목록을 표시합니다. 하지만 select와 달리, 이것만 입력하면 화면상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습니다. 이 태그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사용합니다:

<input type="text" list="데이터 목록 id"> 		
<datalist id="데이터 목록 id">
   <option value="서버로 넘길 값">선택 옵션1</option>
   <option value="서버로 넘길 값2">선택 옵션2</option> 
</datalist>

즉 datalist라는 리스트를 만들고, list id를 지정하면, 이 선택 항목을 어떤 input 에서 가져다가 쓸 수 있습니다. 실제 사용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img30

<button> 태그

버튼을 만들고, 기능을 지정합니다. type 속성을 통해 다음과 같은 기능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img31 (기본 속성은 submit)

  • button vs input input 태그 중 버튼을 생성하는 속성 (submit, reset 등)은 대부분 HTML5부터는 button이라는 태그에서도 똑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버튼을 써야하는 상황에서는 button 태그를 쓰는 것을 권장합니다. why? input 태그는 닫는 태그가 없지만, button은 닫는 태그가 있습니다. 따라서 <span>, <img>등의 하위 요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면 css를 이용할 때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자유도와 활용성이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Last updated